[스크랩] 한국인만 모르는 한글의 우수성 [펌]☞http://blog.joins.com/tkwn100/4793404 한국인만 잘 모르는 한글의 우수성..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다. 소리의 표현을 한글은 11,000 (일만 천)개 이상을 낼 수 있다. 일본어는 약 300개. 중국어(한자)는 400 여개.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리 지 1994.. 역사관 2013.11.01
[스크랩] 한민족,5천년 문화의 진수 5천년 문화예술의 진수 한민족의 성품이 그려낸 오묘한 선의 흐름과 훈훈한 정감... 장황한 수식어나 예찬이 필요하다면,작품이 아직 어설프기 때문일 것이다. 자연의 극치에 다다른 작품이라면 덛붙임은 물론 어떠한 말도 필요치가 않다. 한민족의 예술작품은 기예가 아닌 일상생활로서.. 역사관 2013.11.01
[스크랩] 세계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한글 세계 문자 가운데 한글, 즉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합니다. 그것은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기 때문입니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글은, 정확히 말해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 역사관 2013.10.16
[스크랩] 한국어는 태초의 소리[1] 플러스코리아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24017&section=section108&section2= 현재의 한국어는 태초의 소리-[1] "기본어는 태초에서 거의 변화가 되지 않은 언어입니다" 신민수 우리말전문위원 영어교육 방식이 자녀대학을 결정한.. 입학사정관제 논란? 영어교육 더 중.. 턱살지방, 이중.. 역사관 2013.10.13
[스크랩] 도동서원 한눈에 보기 옛 말에 우리 마을에는 서원이 있었고, 깊은 산 속에는 옛 절이 있었다고 말했을 만큼, 우리는 서원 문화에 익숙했었다. 서원 문화는 아직 우리의 마음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선비의 정신을 느끼게 한다. 도동 서원은 옛날 서원 그대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고, 옛 선비의 높은 정신 문.. 역사관 2013.09.20
[스크랩] 천부경(天符經)의 새로운 이해(조옥구) * 2008년 필자가 본인에게 보내온 내용입니다. 필자의 허락없이 다른 데에 퍼가거나 전파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천부경(天符經)의 새로운 이해 조옥구 / 전 한배달 사무국장 <신설문해자> 저자 '천부경(天符經)'은 아직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낯선 용어일 수밖에 없다. 사실은 삶의 핵.. 역사관 2013.09.04
[스크랩] 12지지에 관한 민속학회의 보고문....^^ 열두 띠 순서, 어떻게 정했을까? 매년 해가 바뀌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습속이 있다. 바로 ‘띠이다.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열두 동물들의 이름을 붙여 ’무슨 무슨 띠‘라고 불렀다. 때문에 태어나는 순간에 띠는 운명적으로 정해져 싫든 좋든 평생을 따라 다닌다. 나이를 물을 때도 몇 살.. 역사관 2013.09.03
[스크랩] 아, 숭례문이여! 40년전 남대문........... 50년전 한국 전쟁의 포화속에서도 살아 남은 남대문... 80년전 일제 강점기 시절 남대문.... 100년전 한일합방 직전..대한제국 시절 남대문... 120년전 구한말 일본인이 찍은 남대문... 아~ 숭례문(남대문)....... 아래는 숭례문 관련 기사들을 모아봤습니다^^ 정도전이 지은.. 역사관 2013.09.03
[스크랩] 제 2부 - 계연수와 이유립을 찾아서... 제2부 - 계연수와 이유립을 찾아서 신동아 | 기사입력 2007-09-27 12:12 월간 ‘자유’를 창간해 국사 찾기 운동을 벌인 고(故) 박창암 장군. [신동아] 김동환 연구원에게서 가지마 노보루 이야기를 들은 기자는 취재 방향을 바꾸기로 했다. 환단고기의 위서(僞書) 여부를 밝혀보려던 목적은 잠.. 역사관 2013.09.03
[스크랩] ◎ 윷놀이의 비밀을 풀어라 ^^ ⊙ 윷놀이의 비밀을 풀어라. [서문] 스타크(스타크래프트) 땜새 설날에 윷놀이하는 집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우리나라 민속놀이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윷놀이 입니다. 우리는 어렸을 때 윷놀이를 그냥 민속놀이로만 알아왔고 지금도 다들 그렇게만 알고 있지요. 놀이 방식은 주사위.. 역사관 2013.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