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집필법 집필법 붓(筆) 모필(毛筆)은 호(毫)와 봉(鋒)으로 나누어 일컫되 호(毫)의 끝을 봉(鋒)이라 하여 마음으로 표시하고 또 호(毫)는 둥글면서 원추형이라 봉(鋒)이 획(劃)의 중심을 통과하면 획이 입체감을 갖고 생명감을 갖게 된다. 집필(執筆)을 하기전에 우선 붓의 부분적 명칭을 알아보면 옆.. 서예이론 2014.08.06
[스크랩] 운필법 운필법 앞서 정리한 집필법(執筆法)과 운필법(運筆法)은 거의 동시적이어서 엄격히 구분하여 설명하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시작단계에서 순간적이나마 운필보다는 집필을 먼저 하기 때문에 편의상 구분하여 정리한다. 운필이란 간단히 말해서 점을 찍고 획을 긋는 방법이라 할 수 있으.. 서예이론 2014.08.06
[스크랩] 예서 한자의 서체(書體) 4 - 隸書 고문자(古文字)들과는 다른 차원의 획기적으로 새로운 한자의 자형(字形)이 성립된 예서(隸書)는 진(秦)나라의 군현제(郡縣制) 실시라는 정치적인 배경이 이끌어낸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행정적 실용성이 중시되어 보다 빠르고 쉽게 문자를 쓰기 위해 고.. 서예이론 2014.08.06
[스크랩] 서예용어 가로쓰기-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 가리개=곡병(曲屛)-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간가(間架)-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간찰(簡札)-간지에 쓴 편지글. 갈필(渴筆)-먹이 진.. 서예이론 2014.08.04
서예 낙관에 대하여 서예 낙관에 대하여 승천昇泉 이규삼李揆三 1. 낙관(落款) ; 작품 본문을 모두 쓰고 다음에 좀 작은글씨로 출처, 때, 곳. 호, 성명,등을 쓰고 도장을 찍는것을 낙관이라 한다.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落成은 일을 모두 마쳤다’이고 ‘款은 도장을 찍다’ ‘識은 기록하다’이다. 2... 서예이론 2014.07.30
낙관[落款]에 대하여 1.낙관 (落款) 이란? 서예나 그림 작품을 완성한 뒤 작품 안에 아호 이름, 제작 연월일 등의 내용을 적고 전각 으로 새긴 도장[인영.인장]을 찍어 작품을 완성 하며, 도장을 찍음으로써 작품이 완성 되며 작품의 격을 이룬다. 이렇게 한것을 낙관했다고 한다.글자를 우묵하게 각을 한것을 음.. 서예이론 2014.07.30
[스크랩] 전서의 기본 - 설문해자 1. 설문해자(說文解字)에 관하여 도대체 한자의 총 글자 수는 몇이나 될까? 현재 중국한자의 근간은 아마도 1716년, 청대 강희제가 펴 낸 <강희자전>에 의존하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강희자전에 수록된 총 한자 수는 47,035자와 부록으로 고대의 다른 글자 1,995자가 수.. 서예이론 2014.06.28
[스크랩] 왕희지 초결가 초서체 학습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 <왕희지의 초결가>를 올립니다. 이 초결가만 잘 공부해도 초서의 절반을 학습했다고 할 만치 초서공부의 요체를 알기쉽게 오언으로 100개의 시가의 형태로 엮은 고전입니다. 여러 종류의 판본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尙古山房本이 가장 유명하므.. 서예이론 2014.06.28
[스크랩] 비슷한 초서체 초서 공부에 꼭 알아두어야 할 점은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초서체 입니다. 특히 작품을 출품하는 사람이 자칫 비슷한 초서체를 혼동하여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한중일서도대전에서 발췌했습니다. 서예이론 201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