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안평대군의 송설체 안평대군이 종이 바탕에 먹으로 쓴 송설체(1447), 44.6×38.7cm, 〈몽유도원도발문〉에서,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 소장 송설체란 ?? 중국 원나라의 서예가인 조맹부(趙孟 : 1254~1322)의 글씨체. 그의 호를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조체(趙體)라고도 한다.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개성을 중시하던 송대의 .. 현대시.한시. 2010.09.14
[스크랩] 추사 고택- 주련(柱聯) 충남 예산에 가시면 쉽게 "추사 고택"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수 많은 작품을 감상하실 수가 있어 시간이 나시면 한번쯤 일삼아 다녀오셔도 좋을 줄로 생각됩니다. "화법유장강만리(畵法有長江万里)" "서세여고송일지(書勢如孤松一枝)" "그림 그리는 법은 긴 강이 만리에 뻗친 듯 하고 글씨의 뻗침은 외.. 현대시.한시. 2010.09.14
[스크랩] 삼의당 김씨의 가을달밤 이 사진은 서예세상에 청허님이 올리신 추석날 밤 만월사진입니다. 가을 달밤(秋夜月) 삼의당 김씨(三宜堂 金氏) 一月兩地照(일월양지조) 달 하나가 두 곳을 비추는데 二人千里隔(이인천리격) 두 사람은 천 리를 떨어져 있네 願隨此月影(원수차월영) 원컨대 이 달 그림자 따라 夜夜照君側(야야조군측) .. 현대시.한시. 2010.09.10
[스크랩] 조선 왕들의 글씨 朝鮮朝列聖御筆12編 .. 列聖御筆十二編 . 肅宗大王御筆 . 使人長智英如學:지혜를 기름은 배옴만한 것이 없고 若玉求文必待琢:구슬의 문채는 다듬기를 기다리는 법. 經書奧旨干誰問:경서의 깊은 뜻을 누구에게 물으랴? 師傳宜親不厭數:스승을 친히하여 자주 물어야 한다네. 英祖大王御筆 翼宗大王御筆 .. 현대시.한시. 2010.09.04
[스크랩] 안 중근 의사 필적(보물596-6호) 견이사의 見利思義 견위수명 見危授命/ 대한국인 안 중근 (보물 596-6호0 이익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릉 보거든 목숨을 바치라 현대시.한시. 2010.09.04
[스크랩] 김생 書帖 신라의 김생(711~?)을 「삼국사기」에서는 '80이 넘도록 글씨에 몰두하여 예서.행서.초서가 모두 입신(入神)의 경지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왕희지,구양순 등의 단정한 글씨와는 달리 김생의 글씨는 틀에 박힌 글씨를 벗어나 개성과 운치를 살리는 서체였으나 지금은 그의 글씨가 산실.. 현대시.한시. 2010.09.04
[스크랩]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서예작품 *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서예 작품 이 유묵(遺墨)은 안 의사가 서거하기 이틀 전에 쓴 '청초당(靑草塘)'이라는 글씨이다. 안 의사가 뤼순감옥에서 쓴 최후의 서예 작품인 이 유묵은 가로 33.2㎝, 세로 66.3㎝의 액자 형태로 지난 1972년 8월16일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 제569-15호로 지정됐다. ".. 현대시.한시. 201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