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한시.

[스크랩] 안평대군의 송설체

미르뫼 2010. 9. 14. 11:23

 

             
 
 

 
 

안평대군이 종이 바탕에 먹으로 쓴 송설체(1447), 44.6×38.7cm, 〈몽유도원도발문〉에서,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 소장

 

 

 

 

송설체란 ??

             
중국 원나라의 서예가인 조맹부(趙孟 : 1254~1322)의 글씨체.

그의 호를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조체(趙體)라고도 한다.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개성을 중시하던 송대의 서풍(書風)과는 달리 조맹부는 전통, 즉 진당(晉唐) 이전으로의 복고를 주장하여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바탕으로 필법이 굳세고 결구가 정밀하면서도 유려한 서체를 완성했다. 해서·행서는 물론 당시에는 잘 쓰이지 않던 초서·전서·예서까지도 연구했다. 송설체는 중국에서 한림원체(翰林院體)라 하여 판본(版本)에도 널리 사용되었고 청나라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서는 고려말 원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충선왕이 베이징[北京]에 세운 만권당(萬卷堂)을 통해 조맹부와 직접 교류가 있었으므로 고려에 그의 서적이 유입되었고, 많은 문인들이 베이징을 왕래하며 그의 서법을 배우게 되었다. 이암(李 : 1297~1364)·이제현(李齊賢 : 1287~1367) 등이 유명한데, 특히 이암은 조맹부 필법의 진수를 체득하여 귀국한 뒤 처음으로 송설체를 전한 인물이다. 조선시대에는 안평대군 이용(李瑢 : 1418~53)을 위시하여 집현전을 중심으로 그와 교유하던 문사들과 최흥효(崔興孝)·성임(成任) 등이 송설체를 사용했다. 그후 조선 중기까지 200여 년 동안 해서·행서에서는 거의 송설체가 지배할 정도로 한 시대를 풍미했다.
<다음백과>

 
 

 

 

 


     

 

출처 : 思霓堂 의 프래닛입니다.
글쓴이 : 예원 원글보기
메모 :

'현대시.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곡차 예찬 22편의고시조)  (0) 2010.10.06
고시조  (0) 2010.10.06
[스크랩] 추사 고택- 주련(柱聯)  (0) 2010.09.14
[스크랩] 삼의당 김씨의 가을달밤  (0) 2010.09.10
[스크랩] 조선 왕들의 글씨  (0) 201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