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송년 모임 건배사☆..........유머♡엽기 송년 모임 건배사☆..........유머♡엽기 건배란 원래 하늘을 향해 축배를 든다는 말이라 한다. 이것이 타이완과 일본에서는 잔을 비운다는 의미로 쓴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서로 자축하자는 의미로 쓰인다고 하니 이처럼 건배사도 세태와 사회, 문화에 따라 다르다. 멋진 건배사는 제창자.. 나의정보 2013.01.01
[스크랩] ★ 제례의 연원과 의의 ★ 제례의 연원과 의의 무릎꿇고 머리를 조아려 하늘과 조상을 섬기다. 제례를 가리켜 형식주의에 치우친 봉건시대의 유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이는 제례의 본래 의미와 뜻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제례의 절차에 담긴 의미도 모르면서 형식만 탓한다면, 그것이야 말로 나무.. 나의정보 2012.12.24
[스크랩] Re: 옛날과 오늘날의 제례의 공통점은? 옛날과 오늘날의 제례의 공통점은? 1. 제례의 유래중국에서는 이미 요(堯)·순(舜) 시대에 천신(天神)·지기(地祇)·5악(嶽)·4독(瀆)을 제사한 기록이「서경(書經)」,「사기(史記)」등에 실려 있다. 특히 윤리 도덕 관념의 앙양과 함께 조상숭배가 크게 성행하여 조상에 대한 제례가 하(夏).. 나의정보 2012.12.24
[스크랩] Re:제례(祭禮)에 얽힌 재미 있는 뜻 제사(祭祀)는 반드시 돌아가신 날 첫 시(時)인 자정이 지나서 지내야 되는데(통상적으로 작고한 전날을 기일로 적고 있습니다) 이유는 생존한 인간과는 생리가 다른 영(靈)의 왕성한 활동시간은 자정부터 03시까지로 보기 때문이며 또한 첫 시라야 깨끗한 정성과 마음가짐으로 조상을 대.. 나의정보 2012.12.24
[스크랩] 시산제 축문예시, 제례 상차림 절차등!!~~ 대흥중24회산악모임 시산제 축문예(하단)↓ 시산제 상차림 [시산제 차례상] (돼지머리) 차레상을 차린곳 정면이 북쪽이고 상을보며 오른쪽이 동쪽이된다 왼쪽은 당현이 서쪽이 된다 (양초) (북어포) (시루떡) (양초) 양초를 양쪽으로 켠고 북어와 시루떡을 올린다 북어의 머리는 동쪽을 향.. 나의정보 2012.12.24
[스크랩] 정북창선생의 용호비결(龍虎秘訣) 주해 정북창선생의 용호비결(龍虎秘訣) 주해 수단지도(修丹之道)-단을 수련하는 방법-는 무척이나 간단하고 쉬운 일이건만, 이제 그에 관한 책이 소나 말에 실어도 모자랄 지경이고, 집을 다 채울 정도로 많은데다가, 또 그것을 표현한 말이 명확치 않아 황홀(恍惚)하기만 할 뿐이니 그 속의 참.. 나의정보 2012.08.17
[스크랩] 피라미드, 고구려와 단군조선 고구려 피라밋, 단군조선 피라밋 함양지역(중국 섬서성)에 무수히 산재한 피라밋들, 서안(시안西安,장안長安)에서 3십여Km 떨어진 함양지역에서는 정체불명한 피라밋들이 수없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현재까지 새로 밝혀진 피라밋은 100여개 이상으로 평균높이가 25~100m에 이른다고 한다. .. 나의정보 2012.06.12
[스크랩] 단군신인(檀君神人)과 구이(九夷)의 조선(朝鮮) 단군신인(檀君神人)과 구이(九夷)의 조선(朝鮮) 조선인을 식민국민으로 개조하라! "조선인들은 유구한 역사적 자부심과 문화에 대한 긍지가 높아 통치가 어렵다. 그들을 대일본제국의 식민으로 만드는 방법은 그들의 가장 큰 자긍심인 역사를 각색하여 피해의식을 심는 것이다. 조선인을.. 나의정보 2012.06.11
[스크랩] 읍니다, 습니다., 다, 이다., 쉼표(,), 단기(檀紀), 평(坪) '읍니다'와 '습니다' 단기4321년(서기1988년) 1월19일 개정된 한글맞춤법에는, '읍니다'는 '습니다'의 잘못으로, '습니다'가 옳다고 규정해 놓았다. 그러나, 이는 한글의 의미와 구성을 제대로 파악치 못해서 비롯된 오류다. 바로잡자면, '읍니다'와 '습니다'는 각기 용처가 달라서 모두 옳은 표.. 나의정보 201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