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초결백운가1 초결백운가(草訣百韻歌)는 王羲之(晋)가 쓴 초서의 입문서(入門書)로써 五言韻文體로 엮어서 筆劃의 長短處實等의 차이로 인하여 아주 다른 글짜가 되는 미묘한 이치를 論理的이며 合理的인 說明을 더한 法帖으로 초서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의 必讀書임. 우리조상들의 전통문화중 특히 고문서를 .. 현대시.한시. 2010.08.15
[스크랩] 禪詩 80수 禪詩 80수 1. 過古寺 - 淸虛休靜 [과고사:옛 절을 지나면서 - 청허휴정] 花落僧長閉 [화락승장폐] 꽃 지는 옛 절문 오래 닫혔고 春尋客不歸 [춘심객불귀] 봄 따라온 나그네 돌아갈 줄 모른다 風搖巢鶴影 [풍요소학영] 바람은 둥우리의 학 그림자 흔들고 雲濕坐禪依 [운습좌선의] 구름은 앉은 중의 옷깃 적.. 현대시.한시. 2010.08.15
[스크랩] Re:호(號)에 대해서 답변드립니다~ 호(號)에 대해서 여러 사람이 문의를 하기에 호를 짓는 방법과 실제에 대해서 설명드립니다. 호(號)란 무엇일까요? 호(號)는 자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2종 이상의 이름을 갖고자 한 풍속(復名俗)과 본이름 부르는 것을 피하는 풍속(實名敬避俗)에 의해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어진 이름.. 나의정보 2010.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