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 부터 1248년 전,서기 763년 9월 9일 중양절에 당나라 이양빙이 쓴 전서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탁본을 입수하여,우선 <목숨 수壽자 100자- 백수도>체본을 완성한 데 이어 드디어 <복 복福자 100자-백복도> 체본을 완성했다.
앞으로 이 체본들을 열심히 임서하여 훌륭한 작품으로 탄생시키고자 한다.
<백복도 체본>
지난번 완성한 <백수도>체본
이 탁본의 글자들은 전서보다도 오랜, 고문에 속하는 글자들이라 백수백복도의 기원이 전서가 사용되기 이전의 아득한 옛날부터 전해내려오고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 자수병풍으로 유행하는 백수백복도의 글자들과 비교해 볼 때, 이 탁본의 가치가 얼마나 의미있는 것인지, 백수백복도의 원류를 발견한 기쁨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조선시대 자수병풍의 글자
출처 : i무릉도원/imrdowon
글쓴이 : 도원장 원글보기
메모 :
'서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서 - 44결구법 해설(2) (0) | 2014.06.28 |
---|---|
[스크랩] 해서-44결구법 해설(1) (0) | 2014.06.28 |
[스크랩] 8. 해서-44결구법 (0) | 2014.06.28 |
[스크랩] 7. 해서-영자팔법 (0) | 2014.06.28 |
[스크랩] 6. 문방사우 (0) | 201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