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문방사우
종이[紙]·붓[筆]·먹[墨]·벼루[硯] 등 옛날 서방이나 서재에 없어서는 안 되는 4가지 기구를 의인화해 쓴 말.
6-1. 종이
한국에 종이가 전래된 것은 왕인 박사가 285년 일본에 건너가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353년 왕희지가 잠견지(蠶繭紙:高麗紙)에 〈난정서〉를 썼다는 기록을 통해 200년경으로 추측된다. 그후 고구려의 담징이 610년 제지술과 조묵법(造墨法)을 일본에 전한 기록과 751년 석가탑 탑신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당시의 우수한 제지술을 증명해준다.
조선시대에는 수요가 급증해 창의문(彰義門) 밖에 조지소(造紙所)를 설치했고 충청도의 마골지(麻骨紙), 전라도의 고정지(藁精紙), 경상도의 모절지(麰節紙) 같은 특수지의 진상 의무가 민간과 사찰에 부과되기도 했다.
한국의 종이는 지질이 좋고 질기기는 하나 서화에는 적당하지 않아 주로 중국산 종이가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경상남도 의창군(지금의 창원시) 다호리의 철기시대 목곽분에서 5자루의 붓이 발굴된 바 있다. 조선시대에는 공조에서 관장해 붓을 생산했으나 중국만큼 발달하지는 못해 상류층에서는 거의 중국에서 수입된 붓을 사용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족제비털로 만든 황모필(黃毛筆)이 가장 유명하다.
6-3. 먹
우리나라에서는 유연묵과 송연묵이 제조, 사용되었으며 평안도 양덕과 황해도 해주의 먹이 유명했는데 서울의 먹골(지금의 묵정동)에서도 생산되었다.
또한 해주 먹은 중국과 일본에까지 수출되었다고 한다.
6-4. 벼루
벼루는 벼루돌[硯石]에 의해 그 질이 좌우되는데 중국에서는 단계연(端溪硯)이 가장 좋으며, 한국에서는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산의 남포석과 자강도 위원군의 청석이 유명하다.
석연(石硯) 이외에 가야와 백제의 도연(陶硯)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는 귀면각(鬼面脚)에 인화무늬[印花紋]가 장식된 것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형태·조각장식·문양 등이 다양해지고 문인취향의 시구(詩句)가 곁들여지기도 했다.
이렇게 중국에서 전해진 지필묵연은 삼국시대부터 발달하기 시작해 조선시대에 이르면 송 이래의 문방취미의 유행과 함께 널리 보급되었고 우리의 생활양식과 미감이 반영되어 발전했다.
'서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8. 해서-44결구법 (0) | 2014.06.28 |
---|---|
[스크랩] 7. 해서-영자팔법 (0) | 2014.06.28 |
[스크랩] 5. 서예의 기볍(技法) (0) | 2014.06.28 |
[스크랩] 4. 서체(書體) (0) | 2014.06.28 |
[스크랩] 3. 서예의 기초지식 (0) | 201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