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날과 오늘날의 제례의 공통점은?
- 1. 제례의 유래중국에서는 이미 요(堯)·순(舜) 시대에 천신(天神)·지기(地祇)·5악(嶽)·4독(瀆)을 제사한
기록이「서경(書經)」,「사기(史記)」등에 실려 있다. 특히 윤리 도덕 관념의 앙양과 함께 조상숭배가 크게 성행하여 조상에 대한 제례가
하(夏)·은(殷) 시대를 거쳐 주대(周代)에 확고하게 갖추어졌다.중국의 조상 숭배는 유교의 발전과 함께 효도 사상과 결부되어 복잡한
의례가 일상 생활 속에 침투되었다. 삼례(三禮:周禮 ·儀禮 ·禮記)를 비롯하여 송대(宋代)에 이루어진「주자가례(朱子家禮)」등은 한국과 일본
등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나. 우리 나라의 경우우리 나라 제례의 시초는 삼한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여(夫餘)에서 영고(迎鼓)라 하여 12월에 하늘에 제사하였고, 고구려에서는 동맹(東盟)이라 하여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냈으며,
동예(東濊)에서는 무천(舞天)이라 하여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낸 기록이 있다. 마한(馬韓)에는 소도(蘇塗)라는 신역(神域)이 있어 솟대를 세우고
북과 방울을 달아 천군(天君)이 신을 제사지냈다.신라에서는 남해왕(南解王) 때에 혁거세묘(赫居世廟)를 세우고 혜공왕(惠恭王) 때에
5묘(廟)의 제도를 정했으며 산천에도 제사를 지냈으며, 백제에는 동명묘(東明廟)가 있었다.고려시대에 중국의 제도를 본떠 원구(천...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sk텔레컴님 원글보기
메모 :
'나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송년 모임 건배사☆..........유머♡엽기 (0) | 2013.01.01 |
---|---|
[스크랩] ★ 제례의 연원과 의의 ★ (0) | 2012.12.24 |
[스크랩] Re:제례(祭禮)에 얽힌 재미 있는 뜻 (0) | 2012.12.24 |
[스크랩] 시산제 축문예시, 제례 상차림 절차등!!~~ (0) | 2012.12.24 |
[스크랩] 정북창선생의 용호비결(龍虎秘訣) 주해 (0) | 201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