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의 종류와 절하는 대상
![](http://ncc.phinf.naver.net/ncc01/2010/9/2/42/17.jpg)
절의 종류에는 큰절, 평절, 반절이 있다. 남자의 절을 각각 계수배(稽首拜), 돈수배(頓首拜), 공수배(控首
拜)라고 하며, 여자의 절은 숙배(肅拜), 평배(平拜), 반배(半拜)라고 한다. 큰절은 자신이 절을 했을 때
답배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 하는 절이다. 또한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도 큰절을 한다. 큰
절을 하는 대상은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방계존속이다. 직계존속이란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고, 배우자의 직계존속은 아내의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다. 방계존속은 백숙부모,
종조부모 등 부모와 항렬이 같거나 높은 가까운 친척을 말한다.
평절은 자신이 절을 하면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같은 또래 사이에 한다. 즉, 선
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친구 사이에 하는 절이다. 친족이
아닌 경우 나이 차가 15년 이내라면 평절로 맞절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을 비롯한 어른을 뵈었을 때 평
절을 하면 어른이 답절을 하며, 부부간에 결혼할 때, 세배할 때 형제간에는 서로 평절로 맞절을 한다.
반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대해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대상은 제자, 친구의 자녀나 자녀의 친
구, 남녀 동생, 8촌 이내의 나이차 10년 이내 연장비속(방계비속, 조카 등 항렬이 낮은 친척), 친족이 아
닌 16년 이상의 연하자 등이다. 평절을 받을 관계에서 아랫사람이 성년이 아니면 말로 인사를 대신하
는 수도 있으나, 성년이면 반드시 답배를 해야 된다. 예를 들어 친구의 성년인 자녀가 찾아와 절을 한다
면 답배로 반배를 하는 것이 예절이다.
절하는 방법 - 남자
![](http://ncc.phinf.naver.net/ncc01/2010/9/2/42/1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