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건강정보

[스크랩] 하수오와 박주가리의 구별법

미르뫼 2013. 6. 21. 13:40

 

하수오와 박주가리의 구별법

 

 

▶ 하수오의 유래

하수오(새박뿌리). 이것은 옛부터 조선 인삼, 구기자와 함께 강정의 3대 약초로 여겨져 왔다.

하수오는 덩굴초이다. 이것은 암수의 구별이 있어 낮에는 덩굴이 곧게 뻗어 있다가 밤이 되면 암수 두 줄기가 서로 꼬이게 된다.

그래서 「야행등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옛날 어떤사람이 날때부터 몸이 약하고, 늙어서 자식이 없었다.

하루는 산중에서 취해 누웠다가 한 등나무 같은 것이 두 가지에 다른 싹이 나서 서로 엉크러져 있는 것을 보고

마음속으로 이상 하게 여겨서 뿌리를 캐어 말려 가루를 내어 술로 마셨다.

그런데 7일이 지나니 여자생각이 나고, 100일을 먹으니 오랜병이 다 낫고, 1년이 되니 정력이 왕성해져 아이를 낳고 130세까지 살았다.

이것도 동의보감에 나오는 얘기다.


▶ 하수오의 특징 및 효능

하수오란 "새박덩굴뿌리" 라는 덩굴풀로 우리나라 각지 산야에 널리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이 풀뿌리를 건조시켜 본쇄한 것을 하수오라 하며

옛날부터 정력과 기를 보호하고 머리를 검게해 주는 식물로 일컬어져 왔으며 인삼 대용품으로도 사용 한다.

자양강장, 양혈, 보간, 갈증해소, 당뇨에 효능이 뛰어나고 허약 체질, 정력제로 좋은 건강식품이다.

성분 이 고르고 따뜻하며 맛이 쓰고 깔깔하며 독이 없으며

루력.옹종. 오치.적년노수.담벽. 풍허패렬.부인의 후산저질.대하적일을 치료 하고 익혈기하며

장근골하고 골수를 메우며 머리털을 검게하고 주안연년한다.

하수오는 그대로 복용하게 되면 머리가 아프고 갈증을 일으키 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하수오를 쌀 뜨물에 담근 다음 꺼내어

검은콩(서목태)과 같이 삶거나 찐 후 에 햇볕에 말려서 써야 된다.

그런데 찌거나 삶았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보(補)하는 작용이 강해지고 약의 성질을 좋게 해준다.

검은콩(서목태)과 함께 삶거나 쪘을 때의 효과는부작용을 막으 며 간장과 신장을 보(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하나의 중요한 것 은 하수오는 반드시 철에 닿아서는 안된다.

철에 닿게되면 철에 의해 약성이 변화를 일으키므로 피해야 되는 것이다. 그외에 철에 닿아서는 안되는 약재은 인삼, 지황, 석창포 등이다.


▶성(性)동의보감-흰 머리와 하수오(何首烏)

길 떠나는 남편에게 주지말라.
진찰실의 검진대에서 내려선 여자가 속옷을 입으며 묻는다. 선생님은 이렇게 여자의 알몸을 봐도 태연하시죠? 그러자 머리가 희끗희끗한 점잖은 모습의 의사는 쓴웃음을 지으며 자기 팔뚝을 걷어 올려 상처를 보여주며 한마디 했다. 그럼요, 이게 늘 너무 태연하다고 마누라에게 할퀴고 뜯긴 자국이랍니다
막대기를 가지고 지키고 있어도 오는 백발을 막지 못한다는 옛 시가 있다. 한방의학의 고전인 황 제내경에서는 흰 머리칼이 나기 시작하면 정력이 감퇴되기 시작한 증거라고 했다. 요즘 호텔 나 이트 클럽에서는 25세 이상이거나 이하 이더라도 흰머리가 있으면 늙었다(?)고 출입구에서부터 제지하는 곳이 많다고 한다.
그러면 아내에게 괄시받지 않도록, 흰 머리칼이 안생기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 황제내경에 따 르면 흰머리가 안생긴다는 말은 정력도 약해지지 않는다는 말이 된다. 한방의학에서 정력제로 사 용하는 약재중에 어떻게(何) 머리가(首) 까마귀처럼 검은가(烏) 라는 뜻을 가진 하수오(何首烏) 가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을 보면 하수오는 강원도와 황해도에서 나는데, 나력(임파선 결핵).종기.치질에 효과가 있다. 나이가 들어 피로하고 야위어 지는 병, 중풍환자가 허약할때, 부인의 산후병과 냉대 하증을 치료한다. 기운과 피를 도와주고,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며 골수를 메꾸고(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모발을 검게하며 수명을 연장한다 라고 하였다.
하수오에는 레시틴 성분과 부신피질호르몬 형태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며,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없애고, 억울형 신경쇠약을 안정시키고, 조루증과 대하증을 치료해 준다.
하수오는 말그대로 머리를 검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 인체의 기능이 쇠약해져서 백발이 된 것을 다시 검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수오가 인체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정력을 충족 시켜 준다는 뜻이다.
약으로 쓸때에는 쌀뜨물에 하룻밤 재워두었다가 다음날 꺼내어 껍질을 긁어 버리고 검은 콩즙에 담가두었다가 말려 가루내어 먹는다. 술을 좋아하는 사람은 술로 복용해도 좋다. 길 떠나는 남편 에게 새박뿌리를 주지말라는 얘기에 나오는 새박뿌리가 바로 이 하수오다.
덩이줄기 말린 것을 백하수오라고 식물망으로 큰 조롱, 붉은 조롱이라고 한다. 자양강장, 보혈의 효능이 있고 빈혈, 만성풍비, 요슬산연, 신경쇠약, 치질, 장출혈을 치료한다.



[작용 및 용도]

◐ 신기를 보강하며 정을 가다듬는다. 신허로 오는 유정,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약한데 쓴다. 두충, 우슬, 숙지황, 구기자, 토사자와 함께 쓴다.

◐ 간을 자양하며 바람기를 가라앉힌다. 힘줄이 켕기며 저린데 쓴다. 별갑. 구판, 가작약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당귀, 산조인, 백작약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 해독작용으로 옹종을 가라앉힌다. 국소가 벌겋게 붓고 곪으면서 아픈데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데 쓴다.

◐ 연교, 금은화, 현상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성능 및 적응증
◐ 성미는 쓰고 달며 떫고 따스하다. 간, 신경에 들어간다.(약학대사전)

◐ 폐와 정, 간과 신을 보하며 근골을 든든하게 한다(약학대사전)

◐ 오래 먹으면 아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배안의 모든 냉병을 낫게 한다(제가본초)

◐ 신음을 보하며 머리칼을 검게 한다(본초구진론)

◐ 주로 나력, 옹종, 치질, 부인과 질병 및 산전산후의 온갖 병을 낫게 한다(동의보감)

◐ 머리칼을 검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얼굴 빛을 좋아지게 하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만드는 법

◐ 약재를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말리거나(동의보감. 의종손익) 또는 술에 7일 동안 담갔다가 건져서 말려 쓴다(의종손익)

◐ 약재를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흑태와 함께 시루에 쪄 익힌 다음 말려서 쓴다. 
 

인삼 구기자와 함께 삼대 명약이라는 하수오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그러나 박주가리와 비슷하여 구별법을 알아 봅시다.

 

 

 

예로부터 백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다.
조혈 작용이 뛰어나 빈혈치료에도 좋고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만성변비 등에도 두루두루 널리 쓰인다.
또 백하수오는 노인들의 기력을 돋구는 데 매우 좋은 약이다.
신장기능을 좋게 하여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게 하고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하며 오래 먹으면 노화를 예방한다.
중국 사람들은 백하수오를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긴다

 

 

1) 백하수오 .. 잎이 마주보고 나온다. 잎 자루가 있는 부분이 둥근형 모습을 하고 있다

 

 

 

2)적하수오 .. 잎이 마디에서 한장씩 어긋나서 나온다

 

 

3) 나도 하수오

 

4) 박주가리 ..  잎이 마디에서 쌍으로 나온다 .. 잎자루 부분이 V자형이다

 

사진 1)은 백하수오  파종후 약3개월된 모종이고

사진 2)는 적하수오 파종후 약 3개월된 모종이며

사진 3)은 나도하수오로 산에서 아가 주먹크기만한 것을 농장으로 이주시킨후 1달된 싹입니다

사진 4)은 박주가리입니다

 

그런데  적하수오 모종과 나도하수오란놈이 줄기의 색이 빨강색이고 잎모양도 비슷하고

나도 하수오란놈은 뿌리도 어린아이 주먹만하고 둥글며 주변에 잔뿌리가 많이 나있으며

또한 같이 씨앗을 뿌렸는데도 백하수오보담 적하수오가  더크게 자라고 있읍니다 싹이 나온지 약 1달가량 됐을까 합니다

 

적하수오는 잎이 마디에서 어긋나 하나씩 나오고, 백하수오와 박주가리는 마디에 쌍으로 잎이 나오며

하수오 씨방표피는 회백색으로 반들하며, 박주가리 씨방 표피는 검은 빛이 있으며 돌기가 있어 매끄럽지 안습니다.

또한 하수오 씨방은 가로폭1이면 세로폭은 5정도로 가늘고 긴편이며

박주가리는 가로폭1이면 세로폭3 정도로 통통하게 살이 찐 모습입니다.

 

가늘고 긴것은 백하수오 씨방이며.. 우측의 통통한것은 박주가리 씨방입니다

 

사슴음경으로 만든 천연한방 정력제 웅기단

한번 복용으로 7일간 지속된다

웅기단 구입하기; 클릭

출처 : 중년들의 진솔한 이야기
글쓴이 : 중년남자 원글보기
메모 :